엔비디아 RTX 50 시리즈와 삼성 GDDR7 메모리 이슈 및 수혜주
엔비디아의 최신 그래픽 카드 라인업인 RTX 50 시리즈가 공개되면서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발표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삼성전자의 GDDR7 메모리 채택과 관련된 논란, 그리고 이에 대한 젠슨 황 CEO의 해명입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RTX 50 시리즈의 주요 특징과 함께 GDDR7 메모리 공급 관련 이슈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RTX 50 시리즈: 차세대 GPU의 등장
엔비디아는 CES 2025에서 RTX 50 시리즈를 공개했습니다. 이 새로운 GPU 라인업은 'Blackwell'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며, 이전 세대에 비해 상당한 성능 향상을 약속합니다.
주요 스펙과 특징
RTX 50 시리즈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GDDR7 메모리 도입: 이전 세대의 GDDR6X에서 업그레이드된 GDDR7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 PCIe 5.0 인터페이스: 더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합니다.
- DisplayPort 2.1a 지원: 향상된 디스플레이 연결 기능을 제공합니다.
삼성 GDDR7 채택에 따른 수혜주 분석 글 보기
모델별 사양
RTX 50 시리즈의 각 모델별 예상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모델 | CUDA 코어 | 메모리 | 메모리 대역폭 | TBP |
RTX 5090 | 21,760 | 32GB GDDR7 | 1.8TB/s | 550W-600W |
RTX 5080 | 10,752 | 16GB GDDR7 | 896GB/s – 1TB/s | 300W-400W |
RTX 5070 Ti | 8,960 | 16GB GDDR7 | 896GB/s – 1TB/s | 300W |
RTX 5070 | 6,144 | 12GB GDDR7 | 672GB/s | 250W |
GDDR7 메모리와 삼성전자
RTX 50 시리즈에 사용되는 GDDR7 메모리는 이전 세대 대비 30%의 성능 향상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이 메모리의 공급사에 대한 논란이 발생했습니다.
젠슨 황 CEO의 발언과 논란
CES 2025 기조연설에서 젠슨 황 CEO는 RTX 50 시리즈에 "Micron GDDR"가 사용되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반도체 업계에서 흔치 않은 일로, 특정 메모리 공급사를 언급한 것이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후 기자회견에서 한국 기자의 질문에 대해 황 CEO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그래픽 메모리를 생산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변했습니다. 이 발언은 즉시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한국 메모리 산업에 대한 "모욕"이라는 평가까지 나왔습니다.
해명과 정정
논란이 커지자 젠슨 황 CEO는 1월 8일 공식 성명을 통해 상황을 명확히 했습니다. "지포스 RTX 50 시리즈에는 삼성을 시작으로 다양한 파트너사의 GDDR7 제품이 탑재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초기 물량을 마이크론이 아닌 삼성전자가 공급한다는 것을 인정한 것입니다.
SK그룹 최태원 회장은 이에 대해 "젠슨 황이 GPU 안에 어느 회사의 칩이 들어가는지 모두 외울 수는 없다. 나도 우리 제품에 어떤 솔루션이 들어가는지 다 모른다"고 언급하며 상황을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삼성 GDDR7 채택에 따른 수혜주 분석 글 보기
삼성전자의 HBM 기술과 엔비디아의 협력
GDDR7 논란 이외에도, 삼성전자의 HBM(High Bandwidth Memory) 기술에 대한 젠슨 황 CEO의 언급이 주목받았습니다.
HBM 기술 테스트 현황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글로벌 기자간담회에서 황 CEO는 삼성전자의 HBM 기술이 현재 테스트 중이며, 그 성공을 확신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 확신을 "내일이 수요일인 것을 아는 것과 같다"고 표현했습니다.
HBM 기술은 고성능과 DRAM의 수직 적층을 통해 데이터 처리 속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기술입니다. 현재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에 HBM을 공급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의 HBM은 아직 테스트 단계에 있습니다.
삼성전자와의 협력 전망
황 CEO는 "엔비디아가 사용한 최초의 HBM 메모리는 실제로 삼성이 만든 것"이라며 "그들은 회복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작년 3월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삼성전자의 HBM 테스트를 언급한 이후 10개월 이상 테스트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테스트 기간이 길어진 것에 대해 황 CEO는 "한국은 일을 서두르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은 좋은 일"이라며 "긴 테스트 기간은 비정상적인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RTX 50 시리즈 출시 일정 및 가격
엔비디아는 RTX 50 시리즈의 출시 일정과 가격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습니다:
- RTX 5090: 1,999달러, 2025년 1월 30일 출시
- RTX 5080: 999달러, 2025년 1월 30일 출시
- RTX 5070 Ti: 749달러, 2025년 2월 출시 예정
- RTX 5070: 549달러, 2025년 2월 출시 예정
고성능 모델인 RTX 5090과 RTX 5080이 먼저 출시되며, 중급 모델인 RTX 5070 Ti와 RTX 5070은 2월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정확한 날짜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결론
엔비디아의 RTX 50 시리즈는 GDDR7 메모리, PCIe 5.0 인터페이스, DisplayPort 2.1a 지원 등 다양한 기술적 진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GDDR7 메모리의 도입은 게이밍 및 전문가용 그래픽 작업에서 상당한 성능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초기의 GDDR7 공급사 논란은 젠슨 황 CEO의 해명으로 일단락되었지만, 이는 반도체 산업에서 메모리 기술의 중요성과 경쟁의 치열함을 보여주는 사례였습니다. 삼성전자의 GDDR7 메모리 공급과 HBM 기술 개발은 앞으로 엔비디아와의 협력 관계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RTX 50 시리즈의 출시는 고성능 컴퓨팅과 AI 분야에서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앞으로 이 새로운 GPU 라인업이 시장에 미칠 영향과 실제 성능, 그리고 경쟁사들의 대응이 주목됩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RTX 50 시리즈와 삼성 GDDR7 채택에 따른 수혜주 분석
엔비디아의 차세대 그래픽카드 RTX 50 시리즈 출시가 임박한 가운데, 삼성전자의 GDDR7 메모리 채택 소식이 전해지면서 관련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RTX 50 시리즈
skiilldrawing.tistory.com
삼성전자의 HBM3E 8단 수혜주
삼성전자의 HBM3E 8단 제품이 엔비디아의 퀄테스트를 통과했다는 소식은 반도체 업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니 투자에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진
skiilldrawing.tistory.com
HBM3E란? 삼성전자의 HBM3E 8단 제품 엔비디아 통과가 같는 의미
고성능 컴퓨팅 환경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처리 속도와 대역폭은 날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HBM(High Bandwidth Memory) 기술입니다. 그 중에서도 HBM3E 8
csu8308.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