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법규_해체계획서 작성 방법 및 감리지정 대상 확인
해체계획서 작성 방법 및 감리지정 대상 확인
건축물의 해체 신고 및 허가를 위해서는 해체 허가신청서와 함께 해체계획서를 첨부하여 제출하여야 합니다.
건축물 해체계획서 작성 목록 및 작성방법
- 해체공사를 수행하는 자 및 해체공사의 공정 등 해체공사의 개요
- 해체공사의 영향을 받게 될 건축설비의 이동, 철거 및 보호등에 관한 사항
- 해체공사의 작업순서, 해체공법 및 이에 따른 구조안전계획.보강계획(안전점검표 작성)
- 해체공사 현장의 화재 방지대책, 공해 방지 방안, 교통안전 방안, 안전통로 확보 및 낙하 방지대책 등 안전관리 대책
- 해체물의 처리 계획
- 해체공사 후 부지정리 및 인근 환경의 보수 및 보상 등에 관한 사항
안전점검표 작성
1. 해체작업순서에 따른 공사 주요사항(필수확인점)기재
- 필수 확인점이란 공사의 수행 과정에서 감리자의 입회 점검 및 서면 승인 없이는 다음 단계의 공정으로 진행할 수 없는 '공사 중지점'으로 점검시점은 해체 작업자와 감리자가 협의하여 결정 합니다.
- 해체장비 이동구간, 잔재물 적재높이 및 하중
- 하부보강 잭서포트 제원 / 설치간격 / 적용 층수 등 표기
- 해당 보강 상세 도면
해체계획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건축물관리법 제30조에 따라 건설기술진흥법 제62조, 동법 시행령 98조에 따라 안전관리계획수립 대상 공사의 경우 안전관리계획서를 제출하면 해체계획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됩니다.
해체시 감리지정 대상 및 감리 업무
1. 상주감리 & 비상주 감리
구분 | 감리대상 건축물 | 감리자 배치 기준 |
상주감리 | 1. 해체공사 허가 대상 건축물 2. 신고대상 중 허가권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건축물 |
1. 공사기간동안 건축사보 1명 이상 배치 2. 연면적 3000M2 이상의 경우 2명 이상 배치 |
비상주 감리 | 1. 해체신고 대상 건축물 중 유동인구 또는 건물 밀집지역으로 허가권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건축물 2. 허가권자와 협의 필요 |
2. 해체공사 감리 자격
[건축사법] 또는 [건설기술 진흥볍]에 따른 감리자격이 있는자 (공사시공자 본인 및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2에 따른 계열회사는 제외)
3. 건축물 해체공사 감리 업무
1. 공사시행 전단계 | 1.감리업무 착수 준비 2. 해체계획서 검토 3. 현지여건 조사 |
2. 공사시행 단계 | 1. 공정.시공관리 2. 안전.환경관리 3. 사진 및 영상 촬영 |
3. 공사완료 단계 | 1. 감리업무 기록관리 2. 결과보고 |
4. 감리완료보고시 제출 서류
1) [건축물 해체계획서의 작성 및 감리업무 등에 관한 기준]에 따른 건축물 해체감리완료 보고서
2) 해체공사 및 감리수행결과
3) 안전점검표, 감리업무일지
4) 각 종 반입자재 규격 및 반입 장비 제원 확인 결과
5) 공사 현황 사진 및 동영상 자료
6) 감리자 의견서 등
이상 건축물 해체계획서 작성 방법 및 해체공사 감리 대상 기준 및 업무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댓글